2006/01/09 14:28
http://blog.naver.com/finetime63/10000765976
※ 공기선도
|
2.1 습공기
|
(1) 전공기와 습공기 |
공기의 성분은 N2, O2, Ar, CO2, H2, Ne, He, Kr, Xe 등과 같은 여러가지의 gas가 혼합되어 있다. |
여기서 수증기 이외의 성분은 지구상에서 거의 일정한 량을 유지하나, 수증기는 기후에 따라 심하다. |
이와같이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를 습공기(Moist Air, Humid Air)라고 하며, 수증기를 함유하지 않은 공기를 |
함유하지 않은 공기를 건공기 (Drv Air)라고 한다. |
|
ㆍ동일한 체적의 건공기와 수증기를 혼합하면 동일한 체적의 습공기가 되는데 이때, 습공기의 압력과 중량은 |
다음과 같다. |
|
| |
(2) 포화공기와 노점온도 |
ㆍ습공기가 냉각될때 어느 온도에서 공기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화된다. 이때의 온도를 노점온도 |
(Dew Point Temp)라고 한다. |
ㆍ습공기중에 수증기가 점차 증가하여 더이상 수증기를 포함시킬수 없을때의 공기를 포화공기 |
(Saturated Air)라고 한다. |
ㆍ포화공기에 계속해서 수증기를 가하면 그 여분의 수증기는 미세한 물방울(안개)로 존재하는데 이를 |
Fogged Air라고 한다. |
(3)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R.H.) |
수증기의 분압과 그 온도에 있어서의 포화공기의 수증기 분압비를 말한다.(습한정도를 나타냄.)
|
Φ = Pv/Ps × 100(%) … … (2.1) |
 |
(4) 절대습도 (Absolute Humidity)와 포화도 (Dagree of Saturation) |
ㆍ습공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의 중량을 나타내는것을 절대습도라고 한다. |
→ 건공기 1(kg)중에 포함된 수증기 X(kg)을 절대습도 X(kg/kg')로 표시한다. |
습공기의 중량은 (1+X)kg. |
ㆍ포화도는 다음과 같다. |
Φs = X/Xs × 100(%) … … … (2.2) |
|
Φs : 포화도 (%) |
X : 공기의 절대습도 (kg/kg') |
Xs : 포화공기의 절대습도 (kg/kg') |
|
(5) 습공기의 엔탈피 |
1) 건공기의 엔탈피 |
ha = Cp ㆍt = 0.24 ㆍt (kcal/kg) … … … (2.3) |
|
Cp : 건공기의 정압비열( ≒ 0.24 kcal/kg℃) |
t : 건구온도 |
|
2)수증기의 엔탈피 |
t℃인 수증기의 엔탈피는 0℃의 포화액의 증발잠열에 이 증기가 t℃까지 상승 하는데 |
필요한 열량의 합이다. |
따라서 t℃ 수증기 1kg의 엔탈피 hv (kcal/kg)은 |
hv = r + Cvp ㆍt = 597.5 +0.44ㆍt … … … (2.4) |
|
r :0℃에서 포화수의 증발잠열 (≒ 597.5 kcal/kg) |
Cvp : 수증기의 정압비열 (≒ 0.44 kcal/kg˚ ℃) |
|
3) 습공기의 엔탈피 |
ㆍ습공기의 엔탈피 = 건공기의 엔탈피 + 수증기의 엔탈피 |
ㆍ절대습도 X(kg/kg') 인 습공기의 엔탈피 hw (kcal/kg)은 |
hw = ha + Xㆍhv |
= Cpㆍt +X(r + Cvpㆍt) |
=0.24ㆍt + X (597.5 + 0.44t) … … … (2.5) |
예) 24℃ DB, 50% RH 인 습공기의 현열, 잠열, 전열을 구하고 습공기선도상에서 확인하시오. |
hw = ha + Xㆍhv |
=0.24 × (24-0) + X (597.5 + 0.44 ×24) |
≒ 0.24 ×24 + 0.0092(597.5 + 0.44 ×24) |
≒ 5.8 + 5.6 |
≒ 11.4 (kcal/kg) |
|
2.2 습공기선도 (Psychrometric Chart) |
|
습공기의 수증기분압, 절대습도, 상대습도, 건구온도, 습구온도, 비체적, 엔탈피등의 각 상태값을 하나의 |
선도에 나타낸것을 습공기선도라고 한다. |
|
(1) 온도선의 구성 |
(2) 습도선의 구성 |
 |
(3) 비체적과 엔탈피 |
 |
(4)현열비와 열수분비 |
 |
(5)습공기의 상태변화 |
 |
P → A : 냉각
|
P → B : 냉각 가습
|
P → C : 가습
|
P → D : 가열 가습
|
P → E : 가열
|
P → F : 가열 가습
|
P → G : 감습
|
P → H : 냉각 감습
| | | |
※ 공기선도
|
2.3 습공기의 상태변화
|
(1) 가열 |
|
Gㆍh1 + qs = Gㆍh2 |
∴ qs = G(h2 - h1 ) = 0.24 ㆍG(t2 - t1) |
=0.24 × 1.2 × Q × (t2 - t1) |
≒ 0.29 ㆍQ (t2 - t1) |
|
⊿h = h2 - h1 |
= (ha2 + X2 ㆍhv2) - (ha1 + X1ㆍhv1) |
={Cp ㆍt2 + X2(r + Cvpㆍt2)} - {Cp ㆍt1 + X1(r + Cvpㆍt1)} |
={0.24t2 + X2(597.5 + 0.44t2)} - {0.24t1 + X1(597.5 + 0.44t1)} |
=0.24 (t2 - t1) + 597.5 (X2-X1) + 0.44 (X2-X1)ㆍ(t2 - t1) |
(그런데 X2 = X1 이므로) |
=0.24 (t2 - t1) |
(2) 냉각 (현열) |
 |
Gㆍh1 - qs = Gㆍh2 |
∴ qs = G(h1 - h2 ) = 0.24G(t1 - t2) |
= 0.24 × 1.2 × Q × (t1 - t2) |
≒ 0.29 ㆍQㆍ(t1 - t2) |
(3) 가습 (잠열)
|
 |
Gㆍh1 + qL = Gㆍh2 |
qL = G(h2 - h1) = 597.5ㆍQ(X2-X1) |
≒717ㆍQ(X2-X1) |
|
⊿h = h2 - h1 |
= (ha2 + X2 ㆍhv2) - (ha1 + X1ㆍhv1) |
={Cp ㆍt2 + X2(r + Cvpㆍt2)} - {Cp ㆍt1 + X1(r + Cvpㆍt1)} |
={0.24t2 + X2(597.5 + 0.44t2)} - {0.24t1 + X1(597.5 + 0.44t1)} |
= 597.5(X2-X1) |
(4)가열, 가습
|
 |
① → ② : 가열 |
'가습기에서의 물질평형식 |
Gㆍh1 + qs = Gㆍh2 |
GㆍX2 + L = G ㆍX3 |
∴qs = G(h2 - h1) ≒ 0.29 ㆍQㆍ(t2 - t1) |
∴가습량 L = G(X3 -X2) ≒1.2ㆍQ(X3 -X2(kgl/h) |
|
(단 Q = (m3/h) 임) |
② → ③ : 가습 |
Gㆍh2 + qL = Gㆍh3 |
∴qL = G(h3 - h2) ≒ 717ㆍQㆍ(X3 - X2) |
'장치전체의 가열량, qr |
qr =qs + qL = G(h3 - h1) |
(5) 현열비 (SHF : Sensible Heat Factor ) |
현열비는 전체열량 (qs + qL)에 대한 현열량 qs의 비 |
SHF = qs / (qs + qL) … … … (1.10) |
(만약 잠열, qL = 0 이면 SHF =1 현열,qs = 0 이면 SHF = 0) |
|
(6) 열수분비 |
습공기의 상태변화량중 수분의 변화량과 엔탈피 변화량의 비 |
열수분비 , U =엔탈피 변화량 ,⊿h / 수분 변화량, ⊿X |
= (h3 - h1) / (X3 - X2) … … … (1.11) |
= (qs + LㆍhL) / L =qs / L + hL |
단, (4)의 가열 가습선도에서 |
G(h3 - h1)=qs + LㆍhL |
G(X3 - X2) = L |
(7) 각종의 가습방법 |
① 순환수에 의한 가습 |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지 않고, pump로 물을 노즐을 통하여 공기중에 분무하는 방법. |
이때, 분무되는 물이 수증기 상태로 되기위해서 주위공기로 부터 증발잠열을 흡수하고, |
이를 다시 공기에 되돌려주는 단열변화로 간주한다. |
즉 습공기선도상에서 h1 ≒ h2 가 되어 등엔탈피 변화과정. |
예를 들어, 10℃의 순환수를 분무하면 U =10 인 ① → ② 로 이동 |
② 온수에 의한 가습 |
순화수를 가열하여 분무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80℃ 온수로 분무가습한다면 |
습공기선도상에서 가습방향은 열수분비 U = 80 에 평행하게 ① → ③으로 이동. |
U = Cㆍt = 1 ×80 =80 (kcal/kg) |
③ 증기가습 |
증기를 분무하여 가습하는 방법으로 U = h / X = X (597.5 + 0.44ts )/ X |
예를 들어 100℃ 포화증기이면, U = 597.5 + 0.44 × 100 = 641.5 (kcal/kg) |
(8) 단열혼합 |
 |
(9) 바이패스 팩터(BㆍF)와 콘택트 팩터(CㆍF) |
 |
ㆍ냉각코일이 습코일이며,Coil row수가 무한히 |
많고, 코일통과풍속이 무한히 느리다면 |
통과공기는 ⓢ 점 즉. 포화공기 온도 ts 에 도달. |
ㆍ하지만, 대부분의 공기는 Coil과 접촉되어 |
열교환이 된 ts상태 ( ⓢ 점 )로 되지만, |
일부의 공기는 Coil과 접촉하지 못하고 |
①입구공기 상태로 그대로 빠져나간다. |
|
 | | |
ㆍ공기가 Coil을 통과해도 접촉하지 못하고 지나가는 공기비율을 Bypass Factor라 하고, |
이에 비해 접촉한 공기비율울 Contact Factor라 한다. |
BㆍF = |
Bypass 공기량 |
|
Coil 통과 전공기량 |
|
|
t2 - ts |
|
h2 - hs |
|
X2 - Xs |
= |
|
= |
|
= |
|
|
t1 - ts |
|
h1 - hs |
|
X1 - Xs | |
예) 30℃ DB, 50%RH인 습공기 5,000m³/h를 Coil에 의해 냉각한다. |
냉각 Coil의 표면온도가 10℃이며 CF = 90%일때 |
i) 냉각 Coil에서 제거된 전열량 (kcal/h),qr = ? |
ii) 웅축된 수분량 (kg/h), L = ? |
|
(풀이) |
ㆍ출구공기온도, t2 = ts + (t1 - ts)ㆍBF |
= 10 + (30 - 10) × 0.1 |
= 12℃ |
i) 전열량 qr (kcal/h) |
qr = 1.2 ㆍQㆍ(h1 - h2 ) |
= 1.2 × 5,000 × (15.4-7.8) = 45.600(kcal/h) |
|
ii) 응축된 수분량, L (kg/h) |
L = 1.2 ㆍQㆍ(X1 - X2 ) |
= 1.2 × 5,000 × (0.0134 - 0.0082) = 31.2 (kg/h) | |
 |
(10) 취굴공기상태 결정 |
① 외기도입이 없을 경우. |
ㆍ냉방시 실내공기상태를 ①이라고 할때 |
실내로 취출되는 공기 ②는 실의 현열비 |
SHF 선상에 있다. |
ㆍⓢ점 은 SHF선과 포화공기선의 교점 |
으로 장치노점온도 (ADP : Apparatus |
Dew Point)이다. |
ㆍ취출상태온도 t2는 첫째, 적정실내온도 |
차에 의한 방법과 둘째, Coil BF에 의해 |
구할수 있다. | |
 |
② 외기도입을 할 경우 |
ㆍ실내공기 ①과 외기 ②를 혼합한 상태가 ③이다. |
ㆍ코일입구 공기 ③은 냉각코일에 의해 냉각선을 따라 |
장치노점온도 ⓢ에 도달한다. |
ㆍ총현열비 GSHF선과 |
실현열비 RSHF선과의 |
교점으로 취출공기 온도 결정 |
|
| |
 |
|
실내현열 + 외기현열 |
* 총현열비 (GSHF :Grand SHF) = |
|
|
실내전열 + 외기전열 |
|
실현열 |
* 실현열비 (RSHF : Room SHF) = |
|
|
실전열 |
|
실현열 + 바이패스 현열 |
* 유효현열비 (ESHF : Effective SHF) = |
|
|
실전열 + 바이패스 전열 |
|
※ 공기선도
|
2.4 습공기 선도상의 각종 프로세서
|
(1) 혼합ㆍ냉각 |
|
① 냉각열량 (kcal/h) |
qc = 외기부하 + 실내부하 |
= Go (h2 - h1) + GR (h1 h4) |
= G (h3 - h1) + G (h1- h4) |
= G (h3 - h4 ) |
=1.2ㆍQ(h3 - h4 ) |
|
② 감습량 (kg/h) |
L = G(X3 - X4 ) = 1.2ㆍQ(X3 - X4 ) |
|
③ 송풍량 |
|
qs + qL |
|
qs |
G (kg/h) = |
|
≒ |
|
|
h1- h4 |
|
0.24 (t1- t4 ) |
|
qs + qL |
|
qs |
Q (m³/h) = |
|
≒ |
|
|
1.2(h1- h4 ) |
|
0.29 (t1- t4 ) |
예) 실내 설계조건 t1 = 26℃ DB, φ1 = 50℃이며 외기조건은 t2 = 32℃ DB, φ2 = 65% 이며, |
실내 냉방부하는 현열량이 5,000 kcal/h, 잠열량이 500kcal/h이다. |
외기량과 환기량은 1:4로 혼합하고 취출온도는 16℃ DB로 한다. |
다음을 구하라. |
i) RSHF |
iii) 혼합점의 상태 |
ⅴ) 냉각코일 능력 |
ii) 취출공기량, Q (m³/h) |
ⅳ)감습량 (kg/h) |
qc ( kcal/h) |
|
RSH |
|
5,000 |
|
i) RSHF = |
|
= |
|
= 0.91 |
|
RSH + RLH |
|
5,000 + 500 |
|
|
qs |
|
5,000 |
|
ii) Q (m³/h) = |
|
= |
|
≒ 1.724 |
|
0.29 (t1- t4 ) |
|
0.29 ㆍ(26-16) |
|
iii) 혼합공기의 상태 ( t3, t3 ) |
|
ㆍ외기량, G (kg/h), 외기온도 32℃ |
혼합공기량, 5G (kg/h) |
ㆍ환기량, 4G (kg/h), 환기온도 26℃ |
혼합온도, t3 (℃) |
외기 + 환기 = 환합공기 |
|
G × 32 + 4G × 26 = 5G × t3 |
∴ t3 = 27.2 (℃) |
|
X3 = 0.0123 (kg/kg') |
ⅳ) 감습량, L (kg/h) |
L = 1.2 ㆍQㆍ(X3 - X4 ) |
= 1.2 × 1.724 × (0.0123-0.0100) = 4.8 (kg/h) |
|
Ⅴ) 냉각열량, qc (kcal/h) |
qc = 1.2 × 1.724 × (14.0-9.9) = 8540 (kcal/h) |
 |
(2) 혼합 ㆍ냉각ㆍ재열 |
실현열비 (RSHF) 가 작을 경우 (실내 잠열량이 큰 경우) RSHF와 포화공기선이 교차하지 않을경우 재열 |
(Reheating)을 실시한다. |
 |
(3) 혼합 ㆍ가열ㆍ가습 |
 |
① Heating Coil Cap (kcal/h) |
qH = G × ((h4 - h3 ) = 0.24 × G × (t4- t3 ) |
= 1.2 ×Q(h4 - h3 ) ≒ 0.29 × Q ×(t4- t3 ) |
|
② 가습량, L (kg/h) |
L = G × (X5 - X4 ) = 1.2 × Q × (X5 - X4 ) |
(4) 예냉ㆍ혼합ㆍ냉각감습 |
ㆍ외기를 냉수코일이나 지하수를 이용한 에어워셔등을 통해 예냉(Pre-Cooling)후 |
냉각감습하는 과정. |
ㆍ이 방식은 외기량이 많고, 실내를 저온으로 유지시켜야 하는 경우 외기부하의의 대부분분을 |
Pre-Cooling Coil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냉각코일의 용량을 작게할수 있다. |
 |
(5) 예열ㆍ혼합ㆍ가습(수분무)ㆍ가열 |
ㆍ외기온도가 극히 낮은 한냉지역의 경우 가습효과를 높이고 가열기 용량을 감소시키는 과정으로 유리. |
 |
|
(6) 혼합ㆍ냉각ㆍ바이패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