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급수관 교체 공사시 필수 확인사항

전 정섭 2009. 3. 26. 23:43

여기 명시된 내용은 산업체(회사) 공사와 아파트 공사를 실시한 경험을 바탕으로 관리소장으로서 꼭 확인하여야 하겠기에 나름대로 생각한 바를 올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자재선정

①배관 : KS품으로 견적서에 명시된 자제 생산 회사명,규격,두께 등을 확인한다.(타 회사의 제품을 썩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②보온재 : 시험성적서를 확인하고 규격 및 두께를 확인하며,토이론 또는 아티론의 경우 갈라짐이 없도록 알미늄 테이프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붙인다)

③기타 밸브류 : 녹은 없는지, 개폐는 원활한지, 규정압력에 맞는지, 신품인지, KS품인지 등을 확인한다.

2.공사 중 자재관리

①배관자재 : 옥내, 옥외를 막론하고 보관시는 양쪽모두 캡을 씌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조치한다.

 ②보온재 : 긁힘이 없도록 비닐 또는 박스 포장한다.

③기타 밸브 외 금속류 : 습기가 없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3.용접작업

①작업장내는 필히 소화기를 비치한다.

②용접은 지정된 용접봉을 사용하는지를 확인한다.

③용접후 배관내에는 이물질이 생기므로 반드시 닦아내도록 한다.

④용접상태를 꼭 확인한다(반사경을 이용하여 용접시는 세밀한 관찰이 요구된다).

⑤용접공은 가능하면 파이프 조각을 용접케 하여 아파트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용접실력을 갖추었는지 자격심사 기준을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된다.

4.절단작업

①파이프 절단 : 배관절단 시는 고속 절단기를 사용한다.(용접봉으로 불어 절단하면 면이 고르지 않으며 파이프 내경을 축소 시킴으로 절대 불허한다).

 ②배관연결 방법 중 지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용접기로 불어내는(일명 뽕따기)방법은 불허하고 홀커터(홀소)를 이용하여 구멍을 내고 연결하도록 한다.

③배관 절단 부위는 항상 내경,외경에 찌꺼기(이바리)가생기므로 필히 제거하고(리머작업)배관내의 쇳가루를 깨끗이 닦아낸다.(통수가 되면 전부 세척된다고 용역업자들은 주장을 하지만 미세한 쇳가루는 밸브나 용접부위의 틈에 끼임발생으로 장기간 동안 흘러 나올수 있슴에 유념 하여야함)

5.배관 고정

①배관 고정용 U볼트는 방식피복이 있는 것으로 한다.

 ②배관고정용 써포트(일명 가대)는 통상 앵글을 사용하므로 설치 전에 방식페인트를 도포하고 용접부위는 반드시 재도장 하도록 한다.

③써포트에 U볼트 구멍은 사전에 드릴로 작업하고 용접봉으로 뚫는 일이 없도록 한다.

6.수압시험

①수압시험은 라인별로 실시하고 보온재를 씌우기전에 하여야 한다(입상관은 내부에 삽입됨으로 어쩔수없이 보온재를 씌우고 마감작업을 하되 수압시험은 반드시 하여야 한다, 공사 준공시 수압시험은 밸브등의 밀림이 있어 무의미하기 때문).

7.도로 굴착작업

①도로를 굴착시는 사전에 전선 및 오폐수관의 묻힘등을 확인하며 굴착은 굴착깊이, 굴착너비를 명확히 한다.

②굴착후 배관 매몰 전에 잔돌 또는 마사토깔기, 모레깔기등 두께지정을 사전에 하여야하며 정상 시공여부를 확인한다.

8.옥외 노출배관

①옥외 노출배관이 있을 경우 마감은 함석보다는 알미늄판을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온테이프 마감은 자제한다.

9.배관 비트 내 층간 방화벽

①층간 또는 몇층 사이마다 방화벽이 설치되었다면 원상복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원상복구하지 않을시는 배관 진동등의 소음이 전층으로 확산되며 소방에도 영향을 미친다.

10.폐자재 관리 및 원상복구

①철거된 폐자재는 어린아이들의 접근으로 인하여 불상사가일어나지 않도록 정리정돈하며 일정한 양이 모이면 즉시 반출 하도록 조치하고,만일 폐자재로 인한 사고 발생시 모든 책임은폐자재를 관리하는 공사용역업체에게 있다는 것을 명시한다.

②원상복구는 복구범위를 정확히 명시하여 차질을 없앤다.

11.기타 확인사항

①공사기간 중 급수방법은 단지별로 차이는 있으나 업체에서 공사를 이유로 단수요청을 할 경우는 공사 몇시간 전에 통보를 하여야 한다는 규정을 명시하여 당황하지 않도록 한다(배째라작전으로 나오기 일쑤다, 공기를 맞쳐야 하지 않느냐는 등).

②용접기를 사용하는 곳은 대부분 엘리베이터 기계실에서 전원을 공급하게되니 한곳에 집중되어 차단기가 내려가지 않도록 나누어 공급하며, 연결 전에 용접기전용 차단기를 별도로 달아관리하도록 요청한다. 그래야 용접기차단기는 떨어져도 엘리베이터는 일시 가동중단이라는 치명상은 입지 않는다.

 ③하루일과가 끝나면 현장 정리정돈을 강요한다.(??? 근성이 있어 관여 안하면 그야말로 볼만하다).

출처 :주택관리사들의 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