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옥 배수관의 관경 |
|
옥내 배수관 계통에 있어서 수평관은 관경의 1/2 또는 최대 유수시에도 관의 2/3이상으로 유수면이 높아지지 않도록 관경을 정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관 상부의 공간에는 공기가 흐르게 되므로 통기의 역할도 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옥 배수관의 관경은 세면기의 배수량을 28.5ι/min으로 하고 이 배수기구 단위(fixture unit value)를 1로 정하여 타기구의 배수량을 2배수로 표시하여 이것을 각 기구의 배수기구 단위로 해서 기구 단위수에 따라 배수관의 관경을 결정한다. 트랩의 구경이 30,40,50,65,75,100mm일 때 기구 배수부하 단위는 1,2,3,4,5,6으로 한다.
|
|
<표2-2> 각종 기구의 배수부하 단위
기구 |
부 호 |
부속트랩의 구경(mm) |
기구배수 부하단위 (f.u.D) |
|
기 구 |
부 호 |
부속트랩의 구경(mm) |
기구배수 부하단위 (f.u.D) |
대 변 기 소 변 기 비 데 세 면 기 소형수세기 음 수 기 욕 조 (주택용) 욕 조 (공중용) 샤 워(주택용) 샤 워(아파트) 욕실 조합기구 |
WC U B Lav WB F BT BT S S BC |
75 40 40 30 25 30 40~50 50~75 40 50 |
8 4 2.5 1 0.5 0.5 2~3 4~6 2 3 8 |
|
청 소 수 채 세 탁 수 채 연 합 수 채 오 물 수 채 요리수채(주택용) 요리수채(영업용) 배 선 수 채 배 선 수 채 화학실험수채 접 시 세 척 기 바 닥 배 수 |
SS LT CS
KS KS PS PS LS
FD |
65 40 40 75 40 40~50 40 50 30
50~75 |
3 2 4 4 2 2~4 2 4 0.5 1.5 1~2 |
|
|
2. 우수 배수관의 관경
|
빗물 배수관의 관경은 지붕 면적과 최대 강우량을 기초로 하여 구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다. 예로서 어떤 지방의 최대 강우량이 120mm/h이면 환산 지붕 면적 = 실제 지붕 수평면적 ×
예제 : 수평으로 투영한 지붕면적 250㎡ 의 우수에 대한 우수입관 및 우수배수 횡주관의 지름을 결정하라. 풀이 : 환산지붕 면적 =
① 우수입관은 100mm가 적당 ② 횡주관의 구배를 1/96로하면, 125mm가 적당하다. |
<표 2-3> 빗물 수직관 및 빗물배수 수평관의 관경(강우량 100mm/h 일 때)
관 경 (mm) |
허 용 최 대 수 평 지 붕 면 적 (㎡) |
빗 물 배 수 수 평 관 |
빗물수직관 |
구 배 1:96 |
구 배 1:48 |
구 배 1:24 |
50 65 75 100 125 150 200 250 300 375 |
- - 76 175 310 497 1068 1928 3094 5528 |
- - 108 246 438 701 1514 2713 4366 7803 |
- - 153 349 621 994 2137 3846 6187 11055 |
67 121 204 427 804 1254 2694 - - - |
|
합류관의 관경은 수평 투영 지붕 면적을 기구 배수 단위로 환산하여 이것에 가옥 배수의 배수단위를 합산한 합계 배수 단위수를 기준으로 하여 구한다. 지붕 면적의 배수 단위환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① 수평으로 투영한 지붕 면적이 93㎡ 까지는 배수 단위를 256으로 한다. ② 93㎡를 초과할 때는 초과분 0.36㎡ 마다 1배수 단위를 가산한다.
|
수평 지붕 면적 -93 |
배수기구 단위수 =256 + |
|
|
0.36 | ③ 최대 강우량이 100mm/h이외의 지역에 있어서는,
|
수평 지붕 면적 -93 |
|
그 지역의 최대 강우량 |
배수기구 단위수 =256 + |
|
× |
|
|
0.36 |
|
100 | ④ 배수관의 표준 기울기 배수관은 물이 0.6~0.9m/sec의 속도로 관 단면적의 50~70%흐르도록 관 지름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배수 단위란 기구에서 배수가 1분에 28ι 의 비율로 유출되는 배수량을 말하는데, 배수단위는 배수관 지름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표 2-4> 배수관의 지름과 표준 기울기
배수관의 안지름 |
표준 기울기 |
비 고 |
100(mm) 125 150 180 200 250이상 |
2/100이상 1.7/100이상 1.5/100이상 1.3/100이상 1.2/100이상 1/100이상 |
1/50 약1/60 약1/67 약1/78 약1/83 1/100 | | | |
|
4. 통기관의 관경 |
|
통기관의 관경을 결정할 때는 무엇보다도 배수관을 흐르는 배수의 유량과 유속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다량의 물이 배수관 속을 흐르는 경우 관내의 어떤 부분은 압력이 증가하고 어떤 부분은 압력이 저하한다. 이것을 정상압력(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공기가 통기관을 통하여 급속도로 흘러야만 된다.
(1) 통기 수직관의 관경
|
① 각개 통기관의 관경 각개 통기관의 관경은 기구 배수관 또는 기기에 접속하는 배수관 관경의 1/2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최소 관경은 32mm(11/4B)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표 2-5> 통기지관과 기구 단위수와의 관계
통기관 관경 (mm) |
허용되는 기구 단위수 |
32 40 50 65 75 100 |
1 8 18 36 72 384 |
<표2-6> 대변기군에 대한 통기관의 관경
대 변 기 |
회로 또는 환상통기과 관경 (mm) |
개 수 |
기 구 단 위 수 |
2 3~6 7이상 |
12 18~36 42이상 |
50 75 100 | ② 환상 통기관의 관경 환상 통기관의 관경은 배수 수평 기관의 관경 또는 통기 수직관의 관경의 1/2이상으로 한다. 또한 도피 통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수지관 관경의 1/2 이상이어야 하며 40mm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