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자동차_모터쇼_2

한국산업인력공단 2011년도 기사 시험일정 및 소방...

전 정섭 2011. 6. 2. 09:51

한국산업인력공단 2011년도 기사 시험일정 및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관련 정보
소방설비기사 때문에 이가 바득 바득 갈리는구나. 오랜만에 독기에 올라 이가 갈려본다. 내 비록 나태하게 술이나 먹고 돌아다니다 보니 필기에 합격하고도 실기를 못 봤지만...   어흑...   다시 도전할까... 말까... 고민된다. 그냥 계속 술이나 먹고 놀까...   2011년도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험일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소방설비기가(전기분야)는 1,2,4회차만 보게된다. 기계분야도 마찬가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원본크기로 보실수 있습니다.    자격명 :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영문명 : Engineer Fire Fighting Facilities - Electrical    개요  건물이 점차 대형화, 고층화, 밀집화되어 감에 따라 화재발생시 진화보다는 화재의 예방과 초기진압에 중점을 둠으로써 국민의 생명,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에 따라 소방설비에 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변천과정  1983년 소방설비기사1급(기계, 전기)로 개정되어 1999년 소방설비기사로 개정  2005년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로 분리 수행직무  소방시설공사 또는 정비업체 등에서 소방시설공사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거나 소방시설공사를 시공, 관리하며, 소방시설의 점검·정비와 화기의 사용 및 취급 등 방화안전관리에 대한 감독, 소방계획에 의한 소화, 통보 및 피난 등의 훈련을 실시하는 방화관리자의 직무수행. 실시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http://www.q-net.or.kr  진로 및 전망  - 소방공사, 대한주택공사, 전기공사 등 정부투자기관, 각종 건설회사, 소방전문업체 및 학계, 연구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지난 10년 간 화재건수는 매년 연평균 10.2%씩 증가하여 88년도에 12,507건이던 화재 발생이 ‘97년도에는 29,472건의 화재가 발생하여 ’88년도보다 136%가 증가하였다. 또한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의 증가와 각종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복잡 다양한 각종 내부인테리어로 인하여 화재는 계속 증가할 것이며, 1997년 후반기부터 건설업체에서 소방분야 도급을 받은 경우 소방설비 관련 자격증소지자를 채용 의무화하는 등 증가요인으로 소방설비기사에 대한 인력수요는 증가할 것이다.
 
 
 * 합격율 현황. 2009년 필기(48%) 실기(24%) 2008년 필기(47%) 실기(29%) 2007년 필기(48%) 실기(17%) 2006년 필기(50%) 실기(42%) 2005년 필기(47%) 실기(52%) 2004년 필기(54%) 실기(40%) 2003년 필기(55%) 실기(44%) 2002년 필기(55%) 실기(51%) 2001년 필기(52%) 실기(50%) 1982~200년 필기(46%) 실기(46%)   소계:  필기(48%) 실기(39%)
   
   시험 수수료  - 실기 : 21,000원  - 필기 : 18,000원  출제경향  - 필답형 실기시험이므로 시험과목 및 출제기준 참조하여 수험준비  - 관련 법령 및 화재안전기준이 자주 개정됨으로 수시로 관련 법령 및 고시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 출제기준  - 한국산업인력공단 자료실 참조 관련학과 대학 및 전문대학의 소방학, 건축설비공학, 기계설비학, 가스냉동학, 공조냉동학 관련학과 필기시험  - 총 4과목 1.소방원론 2.소방전기회로 3.소방관계법규 4.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총 2시간)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시험과목 : 소방전기시설 설계 및 시공실무  * 필답형(2시간 30분)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出處: http://blog.naver.com/mabaks7?Redirect=Log&logNo=90104111608

 


www.shop-dwg.co.kr



P 전정섭님의 파란블로그에서 발행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