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
열효율 : 전기 에너지가 열로 바뀌어 99%이상 실질적인 난방에 이용됨 |
축열기능 : 파이프에 충진 된 액체와 미장층(콘크리트, 황토 기타)의 축열 작 용으로적은 에너지로 장시간 난방가능 |
평당 220W/H 전력소모로 유지비 최저 |
안정성 |
전기를 이용한 난방으로 화재, 폭발, Gas 누출 등이 없음 |
XL파이프의 열매체와 미장층의 두께로 전자파 완벽차단 |
열 가열시 파이프 내부의 팽창압력이 마개를 더 강하게 막아주는 구조로 내 부 액체가새지 않음 |
기능성 |
고유의 바닥 온돌 난방이므로 원적외선 복사열과 훈기로 인해 실내공기가 쾌적하며 따듯한 뛰어난 기능을 보유함 |
부분난방 및 전체 난방 : ~6평 단위로 부분난방 및 중앙집중 통제가 원할 함 |
간편성 |
난방시스템의 주요 구성 등이 방바닥에 매설되어 별도의 보일러 공간이 필요 없음 |
제품 이상 발생시 바닥을 뜯어내지 않고, 배전박스 만 열고 완벽한 A/S가 가능함 |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 |
내구성 |
시공 후 시스템의 유동이 없어,반영구적임 |
간단한 구조로 A/S가 발생되어도 처리가 간단하며 파이프 내에 축열 및 결빙을 방지하는 천연물질로 -20℃ 까지 동파되지 않음 | | |
경제성 |
전열관 |
|
|
품명 |
규격 |
정격전력 |
발열량 |
평(3.3㎥) |
평균소비전력/평 |
DT-01 |
12m x 15∫ |
400-600 wh/평 |
1032Kcal/h |
1.0 |
220w |
DT-02 |
24m x 15∫ |
2064Kcal/h |
2.0 |
DT-03 |
30m x 15∫ |
2580Kcal/h |
2.5 |
DT-04 |
36m x 15∫ |
3096Kcal/h |
3.0 |
| | |
2중 절연 히팅케이블 |
1차피복 : 고온(280℃)에서도 뛰어난 절연성능을 발휘하는 실리콘고무 2차피복 : 내수성, 내화학성이 뛰어난 내열 테프론 고무절연체의 구조는 초절전 온수관 보일러 선택 시 반드시 고려 되어야 함 |
온도조절기 |
중앙집중식 |
 |
- 구성 : 조절기, 온도감지센서/센서선 - 용량 :약 4.0 Kw / 1회로 - 전원 : AC 220V /50~60Mz - 온도 조절 범위 : 0- 60℃ | |
개별조절기 |
 |
온도 조절기의 종류 난방평수 , 콘트롤의 방법등 에따라 중앙집중식, 개별난방식등 여러종류가 있음 | |
배전박스(점검구) |
|
전열파이프 고정, 전선 배선, A/S 시 사용 크기 : 250x58x40, 250x190x40 미장마감의 높이 : 배전박스 높이와 미장(방통)높이 가 동일 해야됨 | | |
 |
|
|
적용범위 |
이 시방서는 초절전 온수관보일러 설치에 관한 사항으로 도면에 표시되었거나 이 시방서에서 요구하는 바와 같다 |
시공한계 |
초절전 온수관 보일러의 전원 연결공사 : 전기공사 |
관련시방 |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시방서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주택건설전문 시방서의 해당 사항에 따른다 | |
|
|
일반사항 |
X-L파이프 내부에 전기발열선과 액체가 충진된 제품으로 사후관리와 보수가 용이한 제품을 사용한다. |
전열선 |
전열선의 피복은 반드시 내열성과 절연성이 뛰어난 고무제품으로 2중피복(1차: 내열 실리콘고무피복, 2차: 내수,내화학성이뛰어난 테프론고무절연)과 동격 이상이어야한다 |
초절전 온수관 보일러 |
가, 길이(용량)별로 구분되어 병렬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제품으로 한다. 나, 초절전 온수관의 용량이 제품단위로 표시되어야 한다. 다, 초절전 온수관이 -20℃까지 결빙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
배전박스 |
가, 배전박스는 가능한 부도체인 것이어야 한다. 나, 시공 후 점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
온도조절기 |
온도조절기는 최고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온도감지기는 누수방지기능이 있어야하고 온도감지기능과 과승방지기능이 있어야 한다. |
부속류 |
가, 가교화 폴리에틸렌관(X-L파이프) 고정용 받침대 및 고정판 P.V.C 제품 또는 아연도철판 0.7mm 이상으로 제작한 가교화 폴리에틸렌관용 받침대 및 #8번의 철선(결속선) 또는 pvc 케이블타이 와이어 매시. | |
|
|
배전박스의 설치 |
가, 배전박스는 수평으로 설치하되 미장마감높이와 배전박스 상단이 일치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나, 배전박스와 벽과의 이격거리는 벽체의 마감두께를 고려하여 공사후 배전박스 덮게를 용이하게 열 수 있는 공간이 확보 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다,배전박스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
초절전 온수관 설치공사 |
가, 굽힘은 아래 사항대로 시공하고 제품의 구부러짐(꺽임)이 없어야한다. 온수관은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굽힘거리 : 800mm / 굽힘직경 : 220mm
나,고정은 코일받침대(크립바)와 고정핀(U핀)으로 (바닥마감이 기포마감의 경우) 1)코일부위 직관은 0,8m 마다 1개소 , 기타 직관부위는 0,5m 마다 고정핀 1개소 2)90°곡관부위는 2개소 이상으로 설계도면을 참조 이완이 없도록 완전히 고정 하여 코일의 들뜸현상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3) 바닥마감이 단열재(스티로폼)마감일 경우 와이어 매시를 편다 온수관을 편다. 미장 시 관이 밀려 나지 않도록 촘촘히 케이블 타이로 와이 어매시에 고정시킨다. |
배선공사 |
초절전 온수관의 리드선을 도면에 표기된 전선이상의 굵기의 전선으로 병렬 연결하여 온도 조절기 출력단자에 연결한다 |
온도감지기 설치 |
온도감지기와 과승방지기는 초절전 온수관에서 10mm띄워서 주름관 파이프속에넣어서 바닥에 고정한다 |
배전박스 보양 |
미장(방통) 시 물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배전박스를 보양한다 |
미장공사 확인 |
가, 미장공사시 배전박스가 덮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나, 미장공사의 두께가 배전박스 두께보다 두꺼우면 난방효과가 급격히 떨어진 다 |
온도조절기 설치 |
가, 온도조절기는 수직 , 수평으로 설치하고 감지기는 확실히 연결하여 기능에 지장이 없도록한다. 나, 온도조절기(개별난방식)는 바닥에서 1,2m 정도높이의 벽에 가구등에 가리지 않도록 설치하며, 전기스위치와 인접된 경우에는 스위치 중심에서 수평으로 200mm 이격거리에 설치한다. |
성능확인 및 시운전 |
가, 미장이 완전히 마른후에 출력측 전선(부하측)의 누전여부를 최종 확인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시험한다 나, 온도조절기의 설정치에따라 동작이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는지 확인한다. 다, 부하(전류)측정기를 이용하여 규격에 따른 출력상태를 확인한다. 라, 온도조절기의 설정상태를 확인한다 |
정상운영 확인 |
30일 후 정상 작동 되는지 확인 | | |
 |
 |
| |